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사랑하는 여러분께 정말 기쁜 소식을 전해드리려고 해요. 문화체육관광부와 세종학당재단이 2025년 세종학당 신규 지정 결과를 발표했어요! 전 세계적으로 한국어 학습 열기가 뜨겁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답니다. 이번 소식을 통해 한국어 교육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까요?
◎ 2025년 11개소의 새로운 세종학당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6월 30일(월)에 세종학당재단과 함께 2025년 9개국 11개소의 세종학당을 새롭게 지정했다고 해요. 이로써 전 세계 87개국 252개소에서 한국어와 한국문화 수업을 들을 수 있게 되었답니다.
이번 신규 세종학당 공모에는 43개국 94개 기관이 신청해서 역대 가장 높은 경쟁률인 8.5대 1을 기록했다고 해요. 그만큼 한국어 학습에 대한 전 세계적인 관심이 뜨겁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한국어 교육과 국제문화교류 등 각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세종학당 지정심사위원회는 약 4개월 동안 서류 심사와 현지 실사, 최종 심사를 거쳐 운영 역량이 우수한 11개소를 최종 선정했답니다.
권역 | 선정 국가 | 소계 |
아시아 | 말레이시아(1), 아랍에미리트(1), 우즈베키스탄(1), 중국(2), 필리핀(1) | 6 |
아프리카 | 이집트(2) | 2 |
유럽 | 독일(1), 이탈리아(1), 헝가리(1) | 3 |
합계 | 9개국 11개소 | 11 |
국가 | 도시 | 현지 기관 |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 | 쿠알라룸푸르대학교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 | 자이드대학교 |
우즈베키스탄 | 타슈켄트 | 타슈켄트 아주대학교 |
중국 | 선양 | 심양대학교 |
중국(타이완) | 타이베이 | 실천대학교 |
필리핀 | 무뇨스 | 센트럴루존주립대학교 |
이집트 | 카이로 | 아인샴스대학교 |
이집트 | 알렉산드리아 | 알렉산드리아대학교 |
이탈리아 | 토리노 | 토리노대학교 |
헝가리 | 미슈콜츠 | 미슈콜츠대학교 |
독일 | 본 | 독일 본 세종학당 |
◎ 한국어 학습 수요가 급증하는 지역을 주목
이번 신규 지정에서는 특히 한국어 수강 대기자가 많은 이집트와 한국어 수요가 급증하는 우즈베키스탄에 세종학당이 추가 지정되었다는 점이 의미가 커요.
○ 이집트
기존에는 주이집트한국문화원 세종학당 한 곳만 운영되고 있었는데, 최근 한국 기업의 이집트 진출이 가속화되면서 한국어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했어요. 한 곳의 세종학당에만 무려 1,285명의 수강 대기자가 있었다고 하니, 그 열기가 얼마나 뜨거운지 짐작이 가시죠? 이번에 카이로의 아인샴스 대학교와 알렉산드리아의 알렉산드리아 대학교에 각각 1개소씩 추가 지정되면서 이집트 내 높은 한국어 학습 수요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돼요.
○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은 이미 7곳의 세종학당이 운영 중이었지만, 최근 한국어능력시험(TOPIK) 응시자가 급증하고 국내 고등교육기관 유학생 수도 중국, 베트남, 몽골 다음으로 12,025명에 달하는 등 취업 및 유학 목적의 한국어 수요가 크게 늘어나 추가로 세종학당이 지정되었어요.
이 외에도 우리나라와 교류가 활발한 말레이시아, 필리핀, 중국, 아랍에미리트 등 아시아 5개소, 그리고 드라마, 영화, 음악 등 한류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독일, 이탈리아, 헝가리 등 유럽 3개소도 새롭게 지정되었답니다.
◎ 세종학당 한국어 세계화의 선봉장
세종학당은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세계에 알리는 최전선의 문화 전초기지라고 할 수 있어요. 2007년 몽골 울란바토르에 첫 세종학당이 개설될 당시에는 3개국 13개소에 연간 수강생이 740명에 불과했지만 , 2024년 한 해 동안 전 세계 세종학당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한국어를 공부한 수강생은 무려 210,374명에 달해요. 2012년 세종학당재단 출범을 계기로 한국어 확산을 체계적으로 지원한 결과라고 볼 수 있어요.
문화체육관광부는 이번 신규 지정을 발판 삼아 새 정부의 대선 공약인 한국어와 한국문화의 세계 확산을 더욱 강력하게 추진할 예정이라고 해요.
○ 거점 세종학당 확대
현재 전 세계 권역별로 5개소의 거점 세종학당이 구축되어 있는데, 이를 2030년까지 20개소로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에요. 거점 세종학당은 역량 있는 신규 세종학당을 발굴하고, 해당 권역 내 세종학당을 지원 및 관리하며, 재외 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권역별 한국어 생태계를 구축하는 역할을 하게 될 거예요.
○ 세종학당 350개소 이상 운영 추진
이러한 거점 세종학당을 기반으로 신규 세종학당을 점진적으로 확대하여 2030년까지 전 세계에 350개소 이상의 세종학당이 지정 및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랍니다. 문체부 문화정책관은 역량 있는 세종학당을 확대 지정하여 한국어와 한국문화가 세계 속의 중추로 우뚝 설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어요.
이번 2025년 세종학당 신규 지정 소식을 접하고, 정말 자랑스러운 마음이 들었어요. 전 세계적으로 한국어 학습 열기가 이렇게 뜨겁다는 사실이 놀랍기도 하고, 한류의 영향력을 다시 한번 실감할 수 있었답니다. 특히 이집트나 우즈베키스탄처럼 한국어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지역에 세종학당이 추가로 문을 연다는 소식은 매우 고무적이었어요. 실제로 필요로 하는 곳에 지원이 확대된다는 점에서 체계적인 접근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개인적으로 한국어가 세계 각지에서 사랑받는 언어로 자리매김하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언어가 가진 힘이 얼마나 큰지 새삼 느끼고 있어요. 언어는 단순히 의사소통의 도구를 넘어, 한 나라의 문화와 정신을 담고 있는 그릇이라고 생각하거든요. 세종학당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세계에 알리는 중요한 가교 역할을 해주고 있다는 점에 감사를 드리고 싶어요.
앞으로 세종학당이 2030년까지 350개소 이상으로 확대될 계획이라고 하는데, 양적인 성장만큼 질적인 발전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잊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훌륭한 교사 양성, 현지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한 개선 노력이 뒷받침된다면, 세종학당은 진정으로 한국어와 한국 문화의 세계화를 이끄는 핵심 동력이 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해요. 언젠가 전 세계 어디에서든 한국어를 쉽게 배우고, 한국 문화를 즐길 수 있는 날이 오기를 바래봅니다.
'사회&경제&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밥상 물가 비상! 쌀값 급등 그 이유와 생각해봐야 할 점 (42) | 2025.07.10 |
---|---|
라면·빵 반값 할인 대규모 식품 할인 정부의 시장 개입 정당성 논의 (43) | 2025.07.09 |
전국 지역별 전세사기 피해지원 대책 안내 창구 & 각 지원대책 별 소관기관 (23) | 2025.07.05 |
전세사기 피해 주택 매입 1,000호 돌파 피해자 지원 확대 (44) | 2025.07.04 |
2025년 7월부터 헬스장, 수영장 이용료도 소득공제 연말정산 혜택 (43) | 2025.07.03 |